MENU
나점수 NA JEOMSOO

STATEMENT

KR / EN

나점수 | NA, JEOMSOO
 
조각가 나점수는 조형 언어와 사유의 경계를 끊임없이 넘나들며, 물질과 비 물질성, 표면과 내면, 식물성과 인간성, 그리고 명명되지 않은 존재의 층위를 오랜 시간에 걸쳐 탐구해왔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이후, 20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사유의 세계를 ‘조형시’라는 형식을 통해 지속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특히 2016년 김종영미술관에서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개최한 《표면의 깊이》는 작가의 사유가 집약적으로 드러난 전환점이었다.《식물識物적 사유》(갤러리 3),《표면의 깊이》(현대16번지), 2009년 김종영미술관의 《식물識物的 사유: 식·적·생·명》 등은 존재의 근원을 향한 작가의 세계관을 구체화한 연작들로, 조형적 사유의 토대를 이룬 작업들이다.
이후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무명(無名)’이라는 주제로 이어진 연작 개인전은 작가의 핵심 사유를 시리즈화한 대표적 전시로 자리 잡았다. 2018년을 시작으로 ARTSPACE 3에서 2018, 2020, 2022, 2025년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된 《無名》 시리즈는 각기 “정신의 위치”, “下” 등의 부제를 통해 규정할 수 없는 세계의 총체성을 ‘조형시’라는 공간설치 형식으로 드러낸다.

한편 THE PAGE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에서는 보다 묵상적이고 시적인 조형설치 중심의 탐색이 이어졌다. 2023년 《含·處》는 ‘머금다, 머물다’라는 개념을 통해 물질과 비 물질의 경계를 시적으로 탐색했으며, 2024년 《智智(Lumiere)》에서는 붙잡을 수 없이 흩어지는 물질적 현상과 규정할 수 없는 형상들을 조형과 비조형의 언어로 풀어냈다. 또한 2018년 이건용과의 2인전 《微言大意》에서는 물질이 사물의 자리로, 사물이 정신의 차원으로 전환되는 ‘조형시’의 세계를 탐구하였다. 더 이른 시기에는 2013년 백순실과의 2인전 《TOPOPHILIA: 공간의 시학》(백순실미술관, 헤이리)을 통해 형상이 어떻게 지각을 불러내어 장소로 기억하게 하는지를 공간의 시학이라는 전시로 탐구하였다. 2000년대에는 《Temperature》, 《Jeomsoo's Photo Studio》, 《Cell in Temperature》 등 다양한 실험적 전시를 통해 물질성과 몸, 체온의 기억, 여행의 저장과 수집의 구성, 형상의 태도와 식물적 서사를 설치로 표현해냈다.

이처럼 나점수의 작업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사유의 여정을 확장해왔으며, 그 근간에는 언어 이전 상태인 ‘無名’의 감각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가 자리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단지 형태가 사물로 완결되어 의미대상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과 정신이 교차하는 미증유의 공간 앞으로 우리를 이끈다. 1998년 이후 아프리카, 이집트, 네팔, 파키스탄, 유럽,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중국 등지를 여행하며 삶과 자연, 공간의 근원적 감각을 몸으로 직면해온 작가는, 이러한 체험을 통해 조형 언어의 깊이와 장소성에 실질적인 밀도를 더해왔다. 이러한 작업 여행은 그의 세계에서 시간과 장소, 물질과 정신을 연결하는 내적 자산이 되었으며, 지금도 물질과 비 물질의 경계, 존재의 흩어짐과 시적 자각에 대한 탐구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시선은 언제나 붙잡을 수 없이 흩어지며 드러나는 존재의 감각을 ‘조형시’로 환원하는데 집중한다.
Sculptor Na Jeomsoo has long explored the boundaries between materiality and immateriality, surface and depth, plant and human, and the unnamed dimensions of existence—constantly traversing the realms of sculptural language and thought.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Sculpture at Chung-Ang University and completing his MFA at the same institution, he has been steadily unfolding a world of contemplation through the format he terms “Sculptural Poetry” since the early 2000s.

A turning point in his career came in 2016 when he was named “Artist of the Year” by the Kim Chong Yung Museum, where he presented the exhibition The Depth of Surface, a show that intensively revealed his philosophical inquiries. Other major solo exhibitions such as Plant-Perceptual Thought (Gallery 3), The Depth of Surface (Hyundai 16), and Plant·Trace·Life·Being at the Kim Chong Yung Museum (2009) have served as key works that articulate his worldview oriented toward the origin of existence.

From the late 2010s into the 2020s, a series of solo exhibitions under the overarching title Unnamed (無名) came to represent his most significant thematic pursuit. Presented four times at ARTSPACE 3—in 2018, 2020, 2022, and 2025—each iteration of Unnamed carried subtitles such as “Position of the Spirit” and “Below (下),” expressing the totality of an indefinable world through sculptural poetry in spatial installations.

At THE PAGE Gallery, his focus deepened into more meditative and poetic installations. In 含·處 (2023), he poetically explored the boundary between material and immaterial through the concepts of “to hold” and “to dwell.” In 智智 (Lumière) (2024), he interpreted elusive, scattered material phenomena and undefined forms through both sculptural and non-sculptural languages. In the 2018 two-person show Subtle Words, Profound Meaning with artist Lee Kun-Yong, he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matter into objecthood and further into the realm of the mind—once again within the domain of sculptural poetry.

Earlier, in the 2013 two-person exhibition TOPOPHILIA: The Poetics of Space with Baek Soon-Sil at the Baek Soon-Sil Art Museum (Heyri), he investigated how form evokes perception and becomes embedded in memory as place. In the 2000s, he presented a range of experimental installations such as Temperature, Jeomsoo's Photo Studio, and Cell in Temperature, where he addressed themes like corporeality and memory of body temperature, the archiving of travel, the attitude of form, and plant-like narrative.

Over time, Na Jeomsoo’s work has expanded the journey of thought, rooted in a persistent inquiry into the pre-linguistic sensation of the “unnamed.” His practice does not simply complete a form to designate meaning; rather, it invites us into unprecedented spaces where material and spirit intersect.

Since 1998, he has traveled extensively through Africa, Egypt, Nepal, Pakistan, Europe, Central Asia, Siberia, and China—directly confronting the primal sensibilities of life, nature, and space through embodied experience. These journeys have enriched his sculptural language with tangible depth and a strong sense of place. They continue to serve as a vital inner resource, linking time and place, matter and spirit, in his ever-evolving exploration of boundaries, dispersals, and poetic awareness.

His gaze remains fixed on the elusive, fleeting sensations of existence—distilling them always into the language of sculptural poetry.

BIOGRAPHY

KR / EN

나점수-NA,JEOMSOO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과 학사 (1997)
중앙대학교 미술대학원 조소과 석사 (2002)

개인전 및 2인전
 
2025 무명(無名-하(下)) ARTSPACE 3/서울(개인전)
2024 (智智(지지),Lumiere /THE PAGE갤러리/서울
2023 함(含머금다)처(處머물다) The Page gallery/ 서울(개인전)
2022 무명(無名-정신의 위치)/ARTSPACE 3/서울(개인전)
2020 무명(無名)/ARTSPACE 3/서울(개인전)
2018 무명(無名)/ARTSPACE 3/서울(개인전)
2018 미언대의(微言大意 2인전나점수,이건용)/THE PAGE갤러리/서울
2017 풍경의 두 면 Two Sides of Landscape 나점수,임동승/nook갤러리(2인전)/서울
2016 표면의 깊이(THE DEPTH OF THE SURFACE),(올해의 작가 선정)/ 김종영 미술관/서울(개인전)
2016 식물(識物)적사유/ Artbn(서울)
2014 식물(識物)적사유사유/갤러리 3/서울
2013 TOPOPHILIA:공간의 시학(2인전나점수,백순실) / 백순실미술관 / 헤이리(경기도)
2011 식물(識物)적사유 ISF / 예술의 전당 / 서울
2010 THE DEPTH OF THE SURFACE(표면의 깊이) /현대16번지 / 서울
2009 식물(識物)적사유 / 식(識),적(寂),생(生),명(明) / 김종영미술관 / 서울
2008 Jeomsoo's Photo Studio / 대안공간 눈 / 수원
2004 Cell in Temperature / SPACE CELLC /서울
2001 Temperature / 갤러리 보다/서울

단체전 

2025 공원의 낮과 밤/ 소마미술관/서울
2024 Thoughts on Thickness(주제관 작가)/ Rossana Oriandi/ 이태리 밀라노
2023 신식가구전/ARTSPACE 3/서울
2021 푸른 유리구슬 소리/ 서울대 미술관/ 서울
2019 여수 국제아트페스티벌 (More Less Much More)/전남
2019 집/장욱진미술관/ 경기도
2018 나무 시간의 흔적/63빌딩 미술관/서울
2017 나무와 만나다/블루메미술관/경기헤이리
2016 뉴 드로잉전/장욱진 미술관 /경기도
2016 배열과 산만함 / Artspace H 전 서울
2015 '한국화의 경계 한국화의 확장 / 문화역서울 284 / 서울
2014 달성 현대미술제 / 대구
2013 다시 그리다 /갤러리 3 /서울
2014 Metal Work-Today / 김종영 미술관 / 서울
2014 근대성의 새 발견 모단 떼끄놀로지는 작동중 / 문화역서울284 / 서울
2013 遭遇(조우) /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도
2011 낯선 시간, 낯익은 공간 ,/ 인터알리아 / 서울
2010 스페셜 에디션전, 현대16번지 갤러리 / 서울
2010 경기도의 힘 / 경기도미술관 / 경기도
2009 여행, 삶, 예술 / 대안공간 눈 / 수원

수상 및 선정 / 입주프로그램

2016 올해의 작가 / 김종영 미술관
2009 상암 DMC 상징미술작품 선정 / 서울
2008-9 장흥조각 아뜰리에 (1기 입주)
2003 송은 문화재단 지원상(개인전)
1998 청년미술제 본상(3인)
1997 뉴프론티어 대상

작품설치 및 소장

*양주시 (here 3m50)
*장욱진 미술관 외부(here 6m 인체), (here 3m50)
*포항문화재단(식물로부터 4m)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상암DMC(밀레니엄 아이:높이24m,폭30m 작가 3인)
*남양주시 역사박물관(전시실 공간디자인 및 작품설치)

작업여행

2013 스위스, 이태리, 중국, 일본
2009 네팔
2008 중국-중앙아시아-터키
2006 동, 북부 아프리카
2007 유럽 ,몽골, 러시아(시베리아 횡단열차), 북, 서부 아프리카)
2005 남, 북부 아프리카
1998 중국 횡단(중국-파키스탄-태국
 

Na Jeomsoo 

Education

  • BFA in Sculpture, College of Fine Arts, Chung-Ang University, Seoul (1997)

  • MFA in Sculpture,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2)


Solo & Two-Person Exhibitions

  • 2025 Unnamed: Below (無名-下), ARTSPACE 3, Seoul

  • 2024 Lumière (智智), THE PAGE Gallery, Seoul

  • 2023 Contain & Stay (含·處), THE PAGE Gallery, Seoul

  • 2022 Unnamed: Position of the Spirit (無名-精神의 位置), ARTSPACE 3, Seoul

  • 2020 Unnamed (無名), ARTSPACE 3, Seoul

  • 2018 Unnamed (無名), ARTSPACE 3, Seoul

  • 2018 Subtle Words, Profound Meaning (微言大意) – Two-person show with Lee Kun-Yong, THE PAGE Gallery, Seoul

  • 2017 Two Sides of Landscape, with Lim Dong-Seung, nook Gallery, Seoul

  • 2016 The Depth of Surface – Artist of the Year, Kim Chong Yung Museum, Seoul

  • 2016 Plant-Perceptual Thought, Artbn, Seoul

  • 2014 Plant-Perceptual Thought, Gallery 3, Seoul

  • 2013 TOPOPHILIA: The Poetics of Space – with Baek Soon-Sil, Baek Soon-Sil Museum, Heyri, Gyeonggi

  • 2011 Plant-Perceptual Thought, ISF, Seoul Arts Center, Seoul

  • 2010 The Depth of Surface, Hyundai 16th Street Gallery, Seoul

  • 2009 Plant-Perceptual Thought: Perception·Silence·Life·Light, Kim Chong Yung Museum, Seoul

  • 2008 Jeomsoo’s Photo Studio, Alternative Space Noon, Suwon

  • 2004 Cell in Temperature, SPACE CELLC, Seoul

  • 2001 Temperature, Gallery Boda,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 2025 Day and Night at the Park, SOMA Museum of Art, Seoul

  • 2024 Thoughts on Thickness (Theme Artist), Rossana Oriandi, Milan, Italy

  • 2023 Contemporary Furniture Show, ARTSPACE 3, Seoul

  • 2021 The Sound of Blue Glass Beads,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 2019 Yeosu International Art Festival – More Less Much More, Jeonnam

  • 2019 Home, Jang Ucchin Museum of Art, Gyeonggi

  • 2018 Traces of Time in Wood, 63 Building Art Museum, Seoul

  • 2017 Encountering Trees, Blum & Poe Museum, Heyri, Gyeonggi

  • 2016 New Drawing Exhibition, Jang Ucchin Museum of Art, Gyeonggi

  • 2016 Arrangement and Disorder, Artspace H, Seoul

  • 2015 The Boundaries and Expansion of Korean Painting,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 2014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 2014 Metal Work–Today, Kim Chong Yung Museum, Seoul

  • 2014 Modernity Revisited: Modern Technologies at Work,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 2013 Encounter (遭遇), Jeju Museum of Art, Jeju

  • 2011 Strange Times, Familiar Spaces, Interalia, Seoul

  • 2010 Special Edition, Hyundai 16th Street Gallery, Seoul

  • 2010 The Power of Gyeonggi-do,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Gyeonggi

  • 2009 Travel, Life, Art, Alternative Space Noon, Suwon


Awards & Residencies

  • 2016 Artist of the Year, Kim Chong Yung Museum

  • 2009 Public Art Project, DMC Symbolic Art Commission, Seoul

  • 2008–2009 Residency, Jangheung Sculpture Atelier (1st Cohort)

  • 2003 Sung-Eun Cultural Foundation Grant (Solo Exhibition)

  • 1998 Grand Prize (3-Persons), Youth Art Festival

  • 1997 New Frontier Award (Grand Prize)


Public Collections & Installations

  • Yeoju City: Sculpture (3.5m)

  • Jang Ucchin Museum of Art: Exterior Installations (6m human figure, 3.5m)

  • Pohang Cultural Foundation: From the Plants (4m)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Art Bank

  • Sangam DMC: Millennium Eye – collaborative public artwork (Height: 24m, Width: 30m, with 2 other artists)

  • Namyangju History Museum: Exhibition space design and installation


Art Travels

  • 2013 Switzerland, Italy, China, Japan

  • 2009 Nepal

  • 2008 China, Central Asia, Turkey

  • 2007 Europe, Mongolia, Russia (Trans-Siberian Railway), North & West Africa

  • 2006 East & North Africa

  • 2005 South & North Africa

  • 1998 China overland (China–Pakistan–Thailand)